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9년 북미정상회담/중계방송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9년 북미정상회담


1. 개요
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1. KBS
3.2. MBC
3.3. SBS
3.5. 채널A
3.6. MBN
3.7. TV조선
4. 그 외 국가


1. 개요[편집]


2019년 북미정상회담의 중계방송 관련 내용,


2.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편집]


2018년의 1차 회담에 비해 보도량이 줄었다. 또한, 28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전 측근인 마이클 코헨이 증인으로 출석한 의회 청문회가 주요 뉴스를 차지했으나, 회담 결렬 직후 모든 보도가 결렬 소식으로 쏠렸다.

안그래도 미국에서는 회담의 성과가 있을지 여부에 회의적인 반응이 많았는데 결렬로 미국 언론에서 회담에 대한 비판적인 기사를 낼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역시나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를 비판하기 시작했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 외교의 실패라고 대서특필할 정도. 그러나 미국 언론들은 배드 딜보다는 노 딜이 낫다며 트럼프의 합의 거부는 지지했다.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편집]


북한과 가장 가까이 있고 북미정상회담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나라가 대한민국이기 때문에 그 중요성으로 인하여 국내 주요 방송사들은 특집 방송으로 보도 편성하였다.

KBS, MBC, SBSJTBC2월 27일부터 2월 28일까지 북미정상회담 당일에 정규방송을 취소하고 뉴스특보를 편성하여 회담 소식을 전한다. 일부 방송사는 26일 저녁부터 특별 생방송을 시작한다.

JTBC는 하노이 롯데센터에 특설 스튜디오를 설치했다.[1] JTBC 특별 생방송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JTBC 뉴스특보/2차 북·미 정상회담ㅣ하노이 문서를 참고.

KBS도 엄경철 앵커와 임장원 앵커를 파견하며 역시 하노이 롯데센터에 스튜디오를 설치했다. CNN에서 제공한 JTBC 임시 스튜디오 바로 옆이다. 트위터를 통해 하노이 현지 스튜디오를 세운 과정을 타임랩스로 보여줬으며#, KBS 뉴스 9는 2월 25일 부터 정상회담 기간 동안 엄경철 앵커가 하노이에서 현장 진행한다. 서울 여의도 스튜디오에서는 범기영 앵커 등이 전문가들과 대담을 이어가며 회담의 의미와 전망 등을 분석했다.

MBC는 왕종명 앵커, 이재은 아나운서, 김수진 앵커, 성장경 앵커가 현장 진행을 위해 파견됐다. 하노이 대우호텔에 특설 스튜디오를 설치했으며, 2월 25일 2시 뉴스외전부터 하노이 현지 생방송에 돌입했다. 뉴스데스크도 이 날 부터 정상회담 기간 동안 하노이에서 현장 진행한다. 참고로 25일에 뉴스외전과 뉴스데스크가 진행된 스튜디오에서 하루 만에 장소를 옮겼다.

SBS는 김현우 앵커와 김성준 논설위원이 현장 진행으로 파견되었으며, 하노이 현지 팬퍼시픽 호텔에 특설 스튜디오를 설치했다. 8시 뉴스는 김현우 앵커가 현지에서, 최혜림 아나운서는 목동 SBS 스튜디오에서 이원 진행한다.


3.1. KBS[편집]


날짜시간프로그램명진행 장소영상
26일22:00~22:552019 북미정상회담 기획 시사기획 창-#
23:40~00:35특선 다큐 KBS 스페셜
27일06:00~07:50특집 KBS 뉴스광장여의도 KBS#
09:30~10:00KBS 뉴스특보1부#
12:00~14:002부#
14:00~16:003부#
16:00~18:004부#
18:00~19:005부#
19:00~21:006부#
21:00~21:55특집 KBS 뉴스 9롯데센터 하노이[2]
여의도 KBS[3]
#
22:00~23:00KBS 뉴스특보7부여의도 KBS#
23:40~24:402019 북미정상회담 특집 대담 한반도 대전환, 평화의 길
28일06:00~08:00특집 KBS 뉴스광장#
08:00~10:00KBS 뉴스특보1부롯데센터 하노이
여의도 KBS[4]
#
10:00~12:002부#
12:00~14:003부#
14:00~16:004부#
16:00~18:005부#
18:00~19:006부#
19:00~20:307부#
21:00~21:55특집 KBS 뉴스 9#
22:00~23:002019 북미정상회담 기획 토론 평화의 길은 오는가여의도 KBS


3.2. MBC[편집]


날짜시간프로그램명진행장소영상
26일19:30~20:55특집 MBC 뉴스데스크하노이 대우호텔#
27일06:00~06:25MBC 뉴스투데이1부상암 MBC#
06:25~07:502부
07:50~11:55MBC 특별생방송 세기의 담판 2차 북미정상회담1부하노이 대우호텔#
11:55~15:552부#
15:55~19:153부#
19:15~21:10특집 MBC 뉴스데스크#
21:10~23:10MBC 특별생방송 세기의 담판 2차 북미정상회담4부#
28일06:00~06:25MBC 뉴스투데이1부상암 MBC#
06:25~07:502부
07:50~12:30MBC 특별생방송 세기의 담판 2차 북미정상회담1부하노이 대우호텔#
12:30~15:302부
15:30~19:153부
19:15~20:55특집 MBC 뉴스데스크#
23:10~24:10특별대담 제2차 북미정상회담상암 MBC


3.3. SBS[편집]


날짜시간프로그램명진행장소영상
27일06:00~06:30특집 모닝와이드[5]1부목동 SBS#
06:30~07:402부
10:00~12:00SBS 뉴스특보 제2차 북미정상회담-평화를 그리다1부하노이 팬퍼시픽호텔#
12:00~14:002부#
14:00~16:00특집 주영진의 뉴스브리핑-제2차 북미정상회담[6]목동 SBS#
16:00~17:00SBS 뉴스특보 제2차 북미정상회담-평화를 그리다3부하노이 팬퍼시픽호텔#
17:00~18:00특집 SBS 오 뉴스[7]목동 SBS#
18:00~19:30SBS 뉴스특보 제2차 북미정상회담-평화를 그리다4부하노이 팬퍼시픽호텔
목동 SBS(특집 8시 뉴스 한정)
#
19:30~21:20특집 SBS 8 뉴스[8]#
21:20~23:10SBS 뉴스특보 제2차 북미정상회담-평화를 그리다5부#
28일00:30~01:00특집 SBS 나이트라인[9]목동 SBS#
06:00~06:30특집 모닝와이드1부#
06:30~08:302부#
08:30~09:40SBS 뉴스특보 제2차 북미정상회담-평화를 그리다6부하노이 팬퍼시픽호텔#
09:40~11:307부#
11:30~14:308부#
14:30~17:309부#
19:30~21:00특집 SBS 8 뉴스#


3.4. JTBC[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JTBC 뉴스특보/2차 북·미 정상회담ㅣ하노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날짜시간프로그램명진행장소영상
26일19:00~21:302차 북·미 정상회담 JTBC 뉴스룸 | 하노이 생방송롯데센터 하노이#
27일07:00~08:302차 북·미 정상회담 특집 JTBC 뉴스 아침&1부상암 JTBC#
08:30~10:002부#
10:00~12:302차 북·미 정상회담 특별 생방송 | 하노이1부롯데센터 하노이#
12:30~15:002부#
15:00~17:102차 북·미 정상회담 JTBC 뉴스특보상암 JTBC#
17:10~19:202차 북·미 정상회담 특집 정치부 회의#
19:20~21:302차 북·미 정상회담 JTBC 뉴스룸 | 하노이 생방송롯데센터 하노이#
28일07:00~08:302차 북·미 정상회담 특집 아침&1부상암 JTBC
08:30~10:002부
10:00~12:302차 북·미 정상회담 특별 생방송 | 하노이1부롯데센터 하노이
12:30~15:002부
15:00~17:002차 북·미 정상회담 JTBC 뉴스특보상암 JTBC
17:00~19:002차 북·미 정상회담 특집 정치부 회의
19:00~22:002차 북·미 정상회담 JTBC 뉴스룸 | 하노이 생방송롯데센터 하노이
22:00~23:30특집 스포트라이트-


3.5. 채널A[편집]


날짜시간프로그램명진행장소
26일19:20~20:20북미정상회담 특집 뉴스A호안끼엠 호수 채널A 스튜디오
27일09:20~10:50북미정상회담 특집 신문 이야기 돌직구 쇼+
10:50~13:00북미정상회담 특집 뉴스 특보1부
13:00~15:002부
15:00~17:003부
17:00~19:004부
19:00~21:00북미정상회담 특집 뉴스A1부호안끼엠 호수 채널A 스튜디오
21:00~23:002부
28일08:00~10:50북미정상회담 특집 신문 이야기 돌직구 쇼+
10:50~13:00북미정상회담 특집 뉴스 특보1부
13:00~15:002부
15:00~17:003부
17:00~19:004부
19:00~21:00북미정상회담 특집 뉴스A1부호안끼엠 호수 채널A 스튜디오
21:00~23:002부


3.6. MBN[편집]


날짜시간프로그램명진행장소
26일09:20~10:50[특집] 뉴스파이터
19:30~20:30[특집] MBN 뉴스8
20:30~21:50MBN 뉴스특보
27일07:00~08:00[특집] 굿모닝 MBN
08:00~10:00[특집] 아침 & 매일경제
10:00~12:00MBN 뉴스특보
12:00~13:30MBN 뉴스특보
13:30~15:15MBN 뉴스특보
15:15~17:00MBN 뉴스특보
17:00~18:50MBN 뉴스특보
18:50~20:30[특집] MBN 뉴스8
20:30~21:50MBN 뉴스특보
28일07:00~08:00[특집] MBN 뉴스특보
08:00~10:00MBN 뉴스특보
10:00~12:00MBN 뉴스특보
12:00~13:30MBN 뉴스특보
13:30~15:15MBN 뉴스특보
15:15~17:00MBN 뉴스특보
17:00~18:50MBN 뉴스특보
18:50~20:30[특집] MBN 뉴스8
20:30~21:50MBN 뉴스특보
3월 1일07:50~08:40[특집] 굿모닝 MBN


3.7. TV조선[편집]


날짜시간프로그램명진행장소
26일13:00~15:00특집 보도본부 핫라인
15:00~17:00뉴스특보 제2차 미북 정상회담
17:00~19:00특집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21:00~22:00특집 뉴스9
27일07:30~09:00특집 뉴스 퍼레이드
09:00~11:00특집 신통방통
11:00~13:00뉴스특보 제2차 미북 정상회담
13:00~15:00특집 보도본부 핫라인
15:00~17:00뉴스특보 제2차 미북 정상회담
17:00~19:00특집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20:00~22:00특집 뉴스9
28일07:30~09:00특집 뉴스 퍼레이드
09:00~11:00특집 신통방통
11:00~13:00뉴스특보 제2차 미북 정상회담
13:00~15:00특집 보도본부 핫라인
15:00~17:00뉴스특보 제2차 미북 정상회담
17:00~19:00특집 시사쇼 이것이 정치다
20:00~22:00특집 뉴스9
3월 1일07:30~09:00특집 뉴스 퍼레이드

TV조선은 '미북회담'이란 표기를 썼는데, 역시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채널AMBN을 포함한 다른 방송사들은 전부 '북미회담'이라 쓴 걸 생각해보면 특이한 부분이다. '적성국인 북한보다는 동맹국 미국을 먼저 써야 한다'는 일부 보수층의 주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10] 타 방송사에 비해 북미회담 자체에 대한 비중은 조금 낮은 편.[11]


4. 그 외 국가[편집]


  • 인도 내 언론에서도 이번 회담에 관심을 안 가졌을 리 없으나, 27일에 파키스탄분쟁이 터지면서 인도 언론의 시선은 그 쪽으로 쏠렸다.[12] 인도 국내용 영어 뉴스 채널인 CNN News 18도 예외는 아니었는데, 한국 내 어느 커뮤니티에서 누가 CNN 글자만 보고 화면을 갈무리한 뒤 성급하게 '미국 CNN이 벌써부터 화제를 딴 곳으로 돌리는구나' 단정짓고 내용을 퍼뜨린 사건이 있었다. (...) CNN News 18은 미국의 CNN과 인도의 Network 18이 합작해서 운영하는 채널이다.
[1] 앞서 싱가포르에서 열렸던 1차 북미정상회담 때에도 싱가포르 현지에도 설치한 바 있다. 당초에는 JW메리어트호텔 근처에 특설 스튜디오를 설치 할 예정이었으나 베트남 측의 철거 요구로 옮겨지었다. 25일 방송은 CNN 스튜디오에 세들어서 진행했다.[2] 엄경철 앵커 진행[3] 김태욱(27일),이각경(26~28일) 앵커 진행[4] 특집 KBS 뉴스 9 한정.[5] 진행자: 박현석 기자, 이병희 아나운서[6] 진행자: 당연히 주영진 기자[7] 진행자: 당연히 한수진 앵커. TMI이긴 하지만 당연히에 취소선이 그어져 있지만 풀네임이 한수진의 특집 SBS 오 뉴스이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8] 메인 진행자: 김현우 앵커[9] 메인 진행자: 김석재 앵커(현 나이트라인 진행자)[10] 실제로 보수 성향 커뮤니티들은 이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11] 신통방통 및 이것이 정치다에서는 자유한국당 전당대회를 포함해 자른 주제도 다뤘다.[12] 다른 국가의 언론에서 이 사건을 전하지 않은 건 아닌데, 특히 다수의 국제 뉴스 채널들은 당일에 트럼프-김정은 회담 이외의 소식을 전할 때 인도 대 파키스탄 소식은 빼놓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3:44:08에 나무위키 2019년 북미정상회담/중계방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